수소는 1차 에너지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이 가능한 2차 에너지입니다.
수소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화석연료 개질방식, 부생수소 활용방식, 수전해 방식 등이 있습니다.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구분 | 추출(개질) | 부생수소(공정수소) 활용 | 수전해 |
---|---|---|---|
생산원리 | 천연가스(메탄), LPG, 갈탄 등 화석연료를 고온/고압에서 수증기와 반응시켜 수소를 추출 | 석유화학이나 제철공장의 생산 공정 중의 부산물을 분리·정제 |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산 |
|
|
|
|
장점 |
|
별도의 설비가 필요 없어 저렴한 생산비 | 이산화탄소 등 부산물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 |
한계 | 다량의 이산화탄소 발생 |
|
현재 높은 생산비용으로 경제성 낮음 |
연간 7,900만 톤에 달하는 전 세계 수소생산량의 약 48~50%는 천연가스의 개질, 30%는 정유 및 화학 부문의
부생수소, 18%는 석탄가스화(주로중국) 등 화석연료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개질방식을
활용하고, 장기적으론 수전해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CO2 - FREE) 생산 방식으로 전환되어갈
것입니다
수소는 기체나 액체 상태, 또는 화합물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운송방식도 이러한 저장방식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기체상태의 수소를 압축하여 저장·운송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향후에는 주요 수요처를
중심으로 한 파이프라인 수송과 고밀도·대용량 운송이 가능한 액화 수송이 활성화될 것입니다.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구분 | 기체 | 액체 | 화합물 |
---|---|---|---|
원리 | 기체 수소를 압축하여 탱크에 저장하고,파이프라인 또는 압축탱크를 통해 공급 | 수소를 영하 253℃로 냉각 액화하여 저장 후탱크로리 및 선박 등을 이용해 운송 | 수소를 메탄, 암모니아(액상) 등 형태로 변환또는 특정 금속 등에 저장하여 탱크로리와선박 등을 이용해 운송 |
|
|
|
|
특징 |
|
|
|
수소에너지는 수송, 발전,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전기차로 대표되는 모빌리티 분야는 수소 활용 잠재력이가장 높은 분야로, 수소경제의 성공 여부는 모빌리티 분야에달려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발전 분야의 경우 연료전지를 활용해 산업, 가정에 필요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효율 발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좌우로 움직여보세요
가정용 | 발전용 | 수송용 | 특수목적용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