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55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급여 시스템을 운용하다가, 전용컴퓨터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91년 7월 UNISYS 기종을 도입했다.
                                           이와 함께 콘솔용 단말기 2대, 보조기억장치 디스크 8대(3.2GB)와 마그네

                                           틱 테이프장치 2대, 온라인 통신제어장치로 DCP30 및 DCP15 모델 각 1대
                                           씩을 설치했다. 또 본사 각 부서와 사업소에 프로그램 작성용(13대)과 업무
                                           처리용(88대) PC 단말기를 설치해 예산 및 회계관리 업무를 전산화했다.

                                           1992년  12월에는  자재·자산·자금·노무  업무가  4GL(Generation
                                           Language)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확대·개발돼 전국적으로 100

                                           여 대의 온라인 단말기를 통해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어 1993년에는 기존 정보 시스템에서 경영관리, 생산·영업, 자원, 재
                                           무, 인사관리 등의 분야에 대한 각종 의사결정 자료를 추출해 경영진에

                                           게 도표와 그래픽 형태로 신속하게 제공하는 경영자 정보 시스템(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했다. 같은 해에 386PC를 93대
                                           추가 보급해 전 직원이 2인 1대 기준으로 PC를 보유하게 됐다.



                                           LNG사업 전개를 위한 국제금융 조달
                                           정부가 LNG 사업을 추진하던 1980년대 초만 해도 국내 자본만으로는 생

                                           산 및 공급설비 건설을 위해 필요한 초기의 막대한 투자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초기의 LNG 사업은 부족한 자본을 외자로 충당해야

                                           했다.
                                           하지만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자금을 국제 금융시장을 통해 직접 조달하기
                                           가 쉽지 않았다. 정부 규제나 국제 금융시장 여건 등이 매우 복잡한 상황에

                                           서 전문지식이나 인력이 부족한 공사로서는 원활한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초기 외자도입은 대부분 한전이 주체가 돼 차입

                                           한 차관을 승계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또한 초창기 국제금융은 사업 초기라는 특성 때문에 외국의 기자재 및 기
                                           술 도입과 연계된 것이 많았다. 공공차관은 평택LNG생산기지 제1~3호기

                                           탱크 건설용 기자재 공급(프랑스)과 도시가스 공급망 건설(아시아개발은
                                           행), 그리고 상업차관은 평택LNG생산기지 감리용역(벨기에와 영국)과 주
                                           배관 건설(일본), 평택LNG생산기지 제4호기 탱크 건설용 기자재 공급(프

                                           랑스)을 위해 각각 도입했다.
                                           이후 사업의 진척과 함께 자체기술이 축적되면서 외국의 기자재 및 기술
                                           을 도입할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또 불리한 조건의 차관을 조기에 상환하

                                           면서 차관을 통한 자금 비중도 꾸준히 감소했다. 1986년부터는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악성 차입금의 조기상환을 추진했다. 특히 외화와 관련




                                                                                                           051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