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53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더라도 신입 1~2년 차의 업무가 주로 복사나 자료 정리, 도면 정리 등 잡
무처리였다면, 한국가스공사 신입사원들은 입사와 함께 3~4년 차가 맡아
야 할 일들을 능숙하게 해냈다. 신입사원들은 연수 과정에서 LNG 인수기
지를 견학하며 웅장한 규모에 놀랐고, 일상생활에 쓰는 천연가스가 가정
까지 전해지는 과정을 알게 되면서 ‘한국가스공사’에 입사했다는 사실에
1986.10.08. 간부임용고시 실시
커다란 자부심을 지녔다.
한편 초창기 한국가스공사는 직원을 일반직(사무 및 기술직군), 연구직
(연구개발 또는 기술 업무에 종사하는 과학자·기술자·특수 분야의 전문
가), 기능직(기능적 업무를 담당하며 그 기능별로 분류되는 7급 직원), 별
정직(고문·계약직·촉탁·용원)으로 분류했다. 직원들의 업무 능력이 향상
되면서 경력직원에 대한 수요도 점차 줄어들었고, 1986년에는 공채 1기를
대상으로 과장급 간부임용고시를 시작함으로써 내부 인력의 승진체제를
구축했다. 1990년 1월 인사규정 전문 개정을 시작으로 인사관리 규정과 제
도를 정비함으로써 인사관리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여갔다.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과
경영 시스템 구축
경영계획 수립과 장기 비전 제시
한국가스공사는 1985년 10월 본격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중장기
경영계획을 최초로 수립해 공익성과 기업성의 조화를 경영전략의 기본방
향으로 삼고, 공급기반 조성 단계, 영업개시 및 활동 단계 등 2단계로 사업
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설립 초기에 수립된 이 경영계획은 경영환경 변화를 예측할 수 있
는 전문성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전략이 미흡해, 한국산업경
제연구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후 1987년 5월 한국가스공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한 중기 경영계획을 새로 수립했다.
그런데 이러한 초창기 경영계획들은 천연가스 공급 사업에 대한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이 마련돼 있지 않아 사실상 장기계획이 제외된 채 수립됐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989년 9월 천연가스 전국공급 사업계획이 마련되자 같
은 해 12월 처음으로 장기계획이 포함된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했다. 이
때 한국가스공사는 ‘가스문화의 창달’을 기업이념으로 제정하고 ‘가스를
통한 청정환경 및 풍요로운 생활 창조(가스토피아)’를 장기 비전으로 제시
했다.
이후 한국가스공사는 기업이념과 비전의 실현을 위해 ‘전국공급 사업의
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