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0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220

한국가스공사 40년사





            수직일관체제
            LNG 밸류체인의
                                        한국가스공사는 천연가스를 도입해 공급하는 단순한 사업에서 출발해 점
            통합과 완성
                                        차 사업영역을 확장해왔다. 천연가스 구매를 넘어 지분투자를 통한 탐사
                                        사업, 개발생산 사업, LNG 연계 사업, 인프라 사업까지 진출하며 수직일
                                        관체계인 천연가스 밸류체인(Value Chain)을 완성해나갔다.

                                        천연가스산업은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독점하고 있어 시장의 수급이 어려
                                        워지는 경우 적기 도입에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항상 내재해있다. 한국가

                                        스공사는 이런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해
                                        외에서 천연가스를 직접 발굴 및 개발하고(상류 사업), 생산된 천연가스를
                                        액화해 우리나라에서 건조한 LNG 수송선을 이용해 수송(중류 사업)하고,

                                        국내로 도입해 공급(하류 사업)하는 천연가스 상·중·하류 사업 전 과정의
                                        수직일관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했다.
                                        2007년 12월 ‘KOGAS 비전 2017’ 선포와 함께 2017년 자주개발 25% 달

                                        성, 생산성 100% 향상, 해외 수익비중 60% 달성을 내걸었을 때, 한국가스
                                        공사의 천연가스 자주개발률은 1%를 밑돌았다. 그리고 3년 만인 2010년
                                        77만 ton의 해외자원 물량을 확보하면서 자주개발률을 2.5%로 끌어올렸

                                        고, 이후 이라크와 호주 등 전 세계에서 꾸준한 해외자원개발 사업 진출로
                                        2013년 자주개발률은 9%까지 상승했다.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에서 자원부국에 투자해 자원을 확보하는 자주개발
                                        률 제고전략은 시의적절한 선택이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가스공
                                        사가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기 위해서는 천연가스 도입 다변화와 함께

                                        상류 사업 진출을 통해 우수한 생산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큰 과제이며, 그
                                        지표가 바로 자주개발률이다. 한국가스공사가 세계 일류 종합에너지기업

                                        으로 도약하기 위해 자주개발률 25%를 내세운 것도 상류 사업 진출이 곧
                                        에너지기업의 경쟁력이기 때문이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공격적인 지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자원개발 사업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216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