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191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핵심가치 내재화 전략과
               로드맵 수립
                                           한국가스공사는 ‘비전 2017’을 수립하면서 조직이 지켜나갈 본질적 신념

                                           이자 신조인 4대 핵심가치(신뢰, 변화, 도전, 책임)의 역할을 정립했다. 이
                                           러한 핵심가치의 공유와 확산, 내재화를 위해서 KOGAS 비전과 연계한 기
                                           업문화상을 구축하는 한편, 핵심가치가 기업의 영속성 보장을 위한 가장

                                           강력한 무형의 경영자원임을 공유하도록 했다. 이후 핵심가치 내재화 로
                                           드맵을 설정해 핵심가치체계의 정립-시스템화-내재화 단계를 거쳤다.

                                           아울러 핵심가치의 내재화 전략으로,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신뢰’의 가치
                                           를 실현하는 한편, ‘책임’ 가치는 공기업으로서의 책임감을 바탕으로 진행
                                           했으며, ‘변화’와 ‘도전’ 가치는 업무혁신으로 구체화했다.






               성과관리체계의

               고도화
                                           성과관리체계는 기관 또는 기업의 사명과 전략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
                                           는 포괄적인 측정 지표의 하나로, 1984년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제도에

                                           도입된 이래 중앙부처와 지방공기업 등 모든 형태의 공공기관으로 확대됐
                                           다.한국가스공사는 그동안 기관과 기업들이 재무 지표(매출액이나 수익

                                           등)를 활용해 성과를 평가해왔으나, 이러한 지표만으로는 장기적인 성과
                                           까지 측정하기 힘들다는 점에 주목했다. 재무 지표는 경영전략과 연관되
                                           어 있지 않은 과거의 정보이며 결과만을 강조하기 때문에 미래를 조망하

                                           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2007년 경영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 수단으로 성과관리

                                           시스템(BSC: Balanced Score Card)을 통합적으로 구축, 기관 운영에 활
                                           용하고자 했다. 로드맵에서는 전략의 실행력 확보, 전략과 단위 사업의 연
                                           계성 강화, 업무의 생산성과 만족도 제고를 목표로 삼았다. 성과관리 시스

                                           템은 재무 측면과 더불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등 기업의 성
                                           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성과 측정 기록표였다. 한국가스공사는 이를
                                           미래 경쟁력에 대한 지표로 활용했으며, 여러 제도를 통해 성과 중심의 체

                                           계적인 인사관리를 이끌어냈다.
                                           2008년에는 성과 중심의 평가문화 조성으로 조직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성과·역량 평가 결과와 보상 연계 수준을 강화했고, 평가 결과의 객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3·4급 다면평가 시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제도를 개선
                                           해 평가수용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상사뿐만 아니라 동료, 부하가 인정하




                                                                                                           187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