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99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시함으로써 매출액 6조 원이라는 양적 성장목표를 성취해 한국가스공사가
새로운 도약을 예비하고, 경영혁신 운동을 정착시키는 도화선이 됐다.
수정 중장기 경영계획은 비전의 한 축인 종합에너지 기업 실현을 위해 사
업다각화에 주안점을 두고, 다른 한 축은 세계 일류기업으로의 성장을 위
해 기업의 체질 개선과 구성원의 사고 전환에 중점을 두었다. 아울러 해외
가스전 지분 참여, 이르쿠츠크 PNG 사업 등 사업영역의 다각화를 추진하
는 한편, 이를 뒷받침할 R&D의 선진화, 지속적 혁신, 직원만족경영 등을
주요 전략과제로 삼았다.
1993년에 수립한 중장기 종합 경영계획이 한국가스공사의 새로운 비전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면, 1996년에 수정한 경영계획은 새로운 비전과 구체적
인 계량목표를 함께 설정했다는 점에서 각각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비
전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의지의 표현으로 중기 계량목표를 설정하고, 단
계별 실행방안을 수립해 체계적인 사후관리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선진적
인 경영계획관리체계의 틀을 갖출 수 있었다.
한국가스공사 제2창업 선언과
IMF 극복 노력
한갑수 제6~7대 사장
1995.01.~2000.08.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와 공기업 민영화 추진 등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저하된 직원 사기를 올리고 재도약의 전기
를 마련하기 위해 1996년 제2창업을 선언하고 과감한 경영
혁신을 전개했습니다.
당시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로 여론의 질타를 받은 직원
들의 어깨는 축 처져 있었고 업무 자세도 수동적이었습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해 기본틀을 마련했고,
직원들로부터 공감대를 얻으면서 차근차근 적용해 나갔습
니다. 그리고 IMF 외환위기 발생 당시 대한민국 전체가 어
려웠던 시기라서 줄일 수 있는 비용은 최대한 줄였습니다.
‘공기업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제도적인 변화도 많았습니
다. 비상임이사 제도(사외이사제도), 공채 전문경영인 체제
와 경영계약제도, 조기출퇴근제, 선택형 복리후생제, 연봉
제, 능력성과급제 등은 공기업 최초로 시행한 제도였습니다.
이런 다양한 노력이 모여 2000년대부터는 자신감을 회복
하고 새로운 미래를 계획할 수 있게 됐습니다. 결과적으로
1997년 556%에 달하던 한국가스공사의 부채비율이 1999
년에는 184%로 크게 줄었고 1998년 공기업 경영 실적 평가
결과, 성공적인 경영혁신을 이룬 것으로 평가받았습니다.
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