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1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231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2011년에는 중국 대련 LNG터미널 시운전 사업, UAE LNG터미널 기술자

                                           문 사업 등 총 862만 달러 규모에 해당하는 6건의 신규 사업을 수주했다.
                                           한국가스공사는 멕시코 만사니요 LNG터미널 운영 사업, 태국 PTT LNG

                                           터미널과 싱가포르 LNG터미널 시운전 및 교육 사업, 중국 LNG터미널 저
                                           장탱크 설계 및 기술자문, UAE LNG터미널 기술자문 사업을 전개해 181
                                           억 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또한 국내시장에서 축적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천연가스 공급
                                           배관 건설 및 운영 분야에도 진출했다. 이라크 키르쿠크(Kirkuk) 가스 배

                                           관 건설 사업을 통해 공사 최초로 EPC 단독 수주라는 성과를 거뒀으며, 국
                                           내 최초로 모잠비크 마푸토(Maputo) 가스 배관 사업을 수주하는 등의 성

               2012.03.27.                 과를 얻었다.
               멕시코 만사니요 LNG터미널 준공식
                                           한국가스공사는 지속적인 중·하류 사업 확대를 통해 2013년에 전년 수익
                                           인 500만 달러 대비 약 24배에 이르는 1억 1,80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
                                           고,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을 이끌어 123.8억 달러를 수주했다. 또한 한국

                                           가스공사가 참여한 자원개발 사업과 연계해 2013년 말 기준 150개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기여해 관련 산업 육성이라는 성과를 거
                                           뒀다.








                  해외자원개발을 위한
                  한 걸음

                                         주강수 제11~13대 사장
                                          2008.10.~2013.05.


                  취임 이후 해외자원을 찾아 방문한 나라만 30개국이 넘습
                  니다.
                  자원개발은 특성상 오지를 방문하는 경우가 많아 비행기를
                  타고 다시 내려 소형 비행기로 갈아타고, 또 차로 비포장도
                  로를 몇 시간씩 달려야 하는 지역도 허다했습니다. 그래도
                  좋아하는 자원개발을 맘껏 할 수 있어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힘들게 손에 넣은 해외자원을 보다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는
                  부담감도 컸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해외자원개발’이라고 하면 자금, 기술, 인력
                  등을 먼저 떠올렸지만, 에너지 보안도 강조하게 됐습니다.
                  해외자원개발이 모험일지라도 공기업과 민간이 위험만 적
                  절히 분담한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실천했습니다.






                                                                                                           227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