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3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233

제1부 | 도전과 성장의 30년



                                           행했다. 세계 최대 크기의 LNG저장탱크 기술개발, 배관검사용 피그 인

                                           텔리전트 개발, 세계 두 번째 선박용 LNG화물창 개발, GTL(Gas-to-
                                           Liquids, 천연가스 액화기술) 핵심기술 개발 등 2010년까지 235건의 특허

                                           출원과 156건의 등록, 29건의 기술이전 성과를 냈다.
                                           개원 초기에는 공공적 성격의 연구개발에 방향성을 두었으나, 1990년
                                           대 중반 무렵부터 경영전략과의 연계성을 점차 강화해나갔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의 내실화가 이뤄지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성과로 이어졌다.
                                           LNG터미널 및 가스 공급설비와 관련된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였다

                                           는 점을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다. 또 자체적으로 개발한 지오메트리 피그와
                                           자기누설 피그를 이용해 주배관 16개 구간의 923km에 대한 피깅을 수행
                                           해 2013년 말 기준 약 78억 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으며, 세계에서 다

                                           섯 번째로 피그를 자체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내부역량의 집중, 천연가스기술의 총합
                                           2000년대 들어서면서 연구개발원은 가스기술 종합연구소로 발전하기 위해
                                           내부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했다. 연구시설 면에서 2001년 Pilot 저장탱크 준
                                           공, 2002년 방폭실험실 개소, 2003년 DME Pilot 플랜트 준공 등을 통해 가

                                           스기술 종합연구소로서의 면모를 갖춰나갔다. 이렇게 면모를 일신한 연구
               2002.04.09. Pilot 탱크 준공식    개발원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역량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해 2007년 수소스테이션, 2008년 DME 데모 플랜트를 준공했다.
                                           이와 함께 천연가스 유체계량 연구, 천연가스 생산 및 공급설비기술 연구
                                           개발, 연료전지 및 환경 분야 연구, DME 연구개발, 액화천연가스 탱크·화

                                           물창 연구, 인텔리전트 피그, 가스전 기술, 신에너지환경 연구개발 등의
                                           연구 사업을 수행했다. 아울러 ‘KOGAS 비전 2017’을 기반으로 세계 일류

                                           에너지 기술연구소로서 위상에 걸맞은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기후변화협
                                           약에 대응하는 연구도 수행했다.





               비전 수립, 그리고
               조직의 방향성을 찾다
                                           비전 실현을 위한 전략 과제와 로드맵
                                           개원 이후 열악한 환경에서도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던 연구개발원은 시대환
                                           경에 따라 연구개발 방향과 조직, 인력 운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1세대(1990~1995년)로 구분되는 초기 연구개발의 방향은 전략적 관점보다
                                           는 가스산업의 육성을 위한 공공적 연구개발 수행에 초점을 맞춰야 했다. 2




                                                                                                           229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