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6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236

한국가스공사 40년사



                                        드레이트 부존 유망 지역에 대한 정밀탐사 실시 및 분석을 완료했고, 2007

                                        년 11월 심해저 시추를 통해 포항기점 동북방 135km 울릉 분지 지점의 깊
                                        은 해저층에서 구간이 130m에 달하는 초대형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구

                                        조를 발견했다. 이렇게 한국가스공사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심해저 심부시추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을 확인한 국가가 되는 데
                                        기여했다.



                                        LNG 플랜트 설계 및 운영기술 개발

                                        한국가스공사는 ‘KOGAS 비전 2017’에서 제시한 자주개발률 25% 달성과
                                        천연가스 사업의 수직일관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천연가스 사업의 상류
                                        부문에 위치한 LNG 액화플랜트 사업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 그러

                                        나 LNG 액화플랜트 기술은 해외 선진기업을 중심으로 발전돼왔기 때문
                                        에 진입장벽이 높아 후발업체의 시장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한
                                        국가스공사는 독자적인 액화공정과 액화플랜트 설계기술을 개발하면서

                                        기술력 확보에 들어갔다.
                                        2008년에는 LNG 액화플랜트 기술개발을 위해 국토해양부 플랜트기술 고
                                        도화 사업에 참여해 고효율의 신규 액화공정 개발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

                                        행했다. 2009년에는 액화플랜트 핵심기술인 C3MR, OCP 등 주요국의 액
                                        화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

                                        고 특허를 취득했다. 이후 특허를 적용한 한국형 액화공정(KSMR) 파일럿
                                        플랜트 구축으로 LNG플랜트 핵심공정 설계 및 운영 기술 확보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녹색에너지 상용화기술 개발

                                        2009년 7월 한국가스공사는 정부의 녹색에너지 국제협력을 위해 유럽연
                                        합 의장국을 맡은 스웨덴 예테보리공사와 ‘천연가스, 바이오가스 및 바이
                                        오 DME’ 관련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계기로 폐기물, 에너지작

                                        물 및 목재 등 다양한 원료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기술을 개발했다.
                                        이후 유기성폐기물을 혐기소화한 후에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중에서 메

                                        탄가스 농도를 높이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바이오가스 연료화’ 연구를
                                        2010년부터 강원도와 공동으로 추진했다. 또한 정제된 메탄가스를 이동
                                        식 충전차량으로 자동차나 기업에 공급해 천연가스와의 혼합공급과 바이

                                        오가스만의 공급을 비교 평가했다.
                                        이와 함께 LNG생산기지에서 LNG기화에 사용하고 배출하는 해수를 이용




            232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