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0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400
한국가스공사 40년사
랜드마크가 되도록 충전소 브랜드를 도입했다. 2021년 전 직원 의견 수
렴 과정을 거쳐 한국가스공사의 수소충전소 브랜드로 ‘H U’를 확정했다.
2
H U는 ‘Hydrogen to you’를 줄인 것으로, 국민에게 수소를 언제 어디서
2
나 편리하게 공급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H U 수소충전소 브랜드는 한국
2
가스공사가 운영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는 신뢰를 더하며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혁신도시 최초, 대구혁신도시 수소충전소
한국가스공사 본사가 위치한 대구 동구 신서혁신도시에도 수소충전소
브랜드 H U 설치를 추진했다. 전국 11개 혁신도시 최초의 수소충전소이
2
자 김해 수소충전소에 이은 한국가스공사의 두 번째 자사 수소충전소였
다. 대구혁신도시 수소충전소는 2020년 6월 기본계획을 확정한 후 2021
년 9월 착공했다. 이후 단 한 건의 사고 없이 건설공사와 충전설비 설치를
마쳤으며, 2022년 4월 설비 안전성과 성능 검사 등 정부공인기관이 검증
하는 시운전을 진행했다. 2022년 5월 12일에는 준공식을 개최하고 대구혁
신도시 수소충전소 운영에 들어갔다.
김해 제조식 충전소가 제조설비를 갖추고 현장에서 수소를 제조·공급하
는 방식이라면, 대구혁신도시 수소충전소는 외부로부터 수소를 공급하
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시간당 수소승용차 10대, 혹은 수소버스 2대를 충
전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으며, 이는 연간 수소승용차 기준 1,300대(연간
200ton 공급)를 충전할 수 있는 규모였다. 그동안 대구 북구 및 달서구에
서만 운영되던 수소충전소를 동구 지역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관내 충전
인프라 불균형 해소와 함께 수소차 보급확대에 활력을 불어넣게 됐다.
대구혁신도시 수소충전소는 일반인이 직접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셀프충
전 실증 사업도 추진 중이다. 수소충전소를 이용하는 수소차 운전자는 수
소 안전 전담기관인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이버교육원의 1차 인터넷 교육
과 충전소에서 안전관리자가 시행하는 2차 안전 교육을 이수하면 셀프충
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셀프충전이 허용되면 이용자 편의성 향상과
충전소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소차 보급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 대구혁신도시 수소충전소는 시간당 수소승용차 10대, 혹은 수소버
스 2대를 충전할 수 있는 설비를 갖췄으며, 이는 연간 수소승용차 기준 1,300대(연간 200ton
공급)를 충전할 수 있는 규모였다.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