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5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355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소통 창구를 만들면서 기업문화 개선을 위해 직원들
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창구인 ‘라플라자’
의 익명게시판을 통해 낡은 규정과 불합리한 관행에 대한 개선 공모를 진
행하고 자유롭게 게시하도록 함으로써 혁신방안을 함께 고민해나갔다. 다
양한 혁신 노력이 시너지로 축적되면서 한국가스공사는 2018년 정부 경영
평가에서 7년 만에 B등급으로 올라섰다.
2019년에는 입사 10년차 이하 직원들을 대상으로 ‘청년위원회’를 선발하
고 혁신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 창의적 인재들을 선발한 ‘혁신 리더’가 주
축이 되어 혁신 아이디어 발굴과 혁신 과제 점검, 혁신 학습 동아리 운영,
혁신 우수사례 창출 및 성과 확산 등 자율적 혁신 활동을 이끌면서 현장과
총괄부서 간 혁신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11월에는 KOGAS 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BIC: Best Innovation
Contest)를 개최, 전국 사업소에서 발굴한 혁신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전
사로 확산해 경영혁신 활동을 촉진하는 계기로 활용했다. 이를 시작으로
KOGAS 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지속해서 개최하고 발전시켜나가면서
혁신활동의 독려와 성과 창출로 이어지도록 했다.
‘장기경영계획 KOGAS 2025’ 제시
2018년 8월에는 창립 35주년을 맞아 미래 경영전략을 담은 ‘장기경영계획
KOGAS 2025’를 발표했다. “천연가스산업 선도를 통해 친환경에너지로
의 전환을 활성화하고, 사업 과정과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며 미래를 향한
혁신을 추진”할 것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2018.08.17. 정량적인 달성 목표로는 2025년까지 총 10조 원을 신규 투자하고, 천연가
장기경영계획 ‘KOGAS 2025’ 발표
스 신수요 700만 ton을 창출하며, 9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
고 밝혔다. 또 공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천연가스 공급원가를 6
조 원 낮추고, 공기업 청렴도 1등급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천연가스 사업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선박용 LNG연
료를 공급하는 LNG벙커링, 육상 대기질 개선을 위한 LNG화물차,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충전 인프라, 연료전지와 가스냉방 사업 등 친환경 사업
에 1조 원을 투자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계획도 밝혔다. 나아가 신
사업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기존 R&D를 개방형 기술개발로 전환하면서,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과 민·관 참여 협력 등 개방형·협업형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 사업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