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1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341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가 미래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자, 한국가스공사는 2018년 2월 수소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정관 개정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수소산업 육성 주
                                           체로서의 역할을 명확히 했다.

                                           수소를 생산하는 여러 방법들 가운데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생수소를 발생
                                           시키는 방식을 제외하면, 천연가스 정제 공정을 통해 수소를 추출하는 것
                                           이 가장 경제적이었다. 따라서 한국가스공사는 국내 어떤 기업보다도 수

                                           소경제 시대를 이끌 적임자였다. 전국적으로 촘촘한 주배관망도 구축하고
                                           있어서 가장 우수한 공급인프라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다.

                                           국회는 2018년 12월 본회의에서  한국가스공사의 사업 범위에 수소 사업
                                           을 포함시키는 한국가스공사법 개정법률안을 의결했으며, 이로써 한국가
                                           스공사를 중심으로 수소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한국가

                                           스공사도 2019년 1월 수소 사업 조직을 신설하고, 천연가스에서 수소까지
                                           상품을 다양화하면서 새로운 신성장동력 발굴에 박차를 가했다.
                                           2019년 1월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경제 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
                                           소경제 선도국가로 발돋움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
                                           화 정책에 발맞춰 한국가스공사도 2019년 4월 수소산업 추진 로드맵을 발

                                           표했다.  수소 사업 로드맵은 수소 생산과 유통망 구축을 통한 수소경제 활
                                           성화를 비전으로 국가 전체 수소 수요의 60% 이상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

                                           로 했다. 이를 위해 수소 운송·유통 부문 인프라 선제 구축, 수소산업의 상
                                           업적 기반 조성, 수소산업 전 밸류체인의 기술자립 실현, 선진국 수준의
                                           안전관리체계 조기확립 등을 4대 추진방향으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한국가스공사는 기존 핵심역량과 수소를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
                                           함으로써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향을 설정했다. 장기적으로

                                           는 수소산업이 차세대 국가 핵심산업으로 성장하도록 견인하는 한편, 세
                                           계 유수 글로벌기업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미래 저탄소·친환경 에너지 시
                                           대를 이끌어나가는 새로운 한국가스공사의 위상을 정립해나가겠다고 밝

                                           혔다.









               •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신기후체제 진입과 재생에너지 확대 추세 속
               에 수소가 미래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자, 한국가스공사는 2018년 2월 수소 사업을 수행하

               기 위한 정관 개정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수소산업 육성 주체로서의 역할을 명확히 했다.




                                                                                                           337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