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3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283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 한국가스공사는 2015년 5월 판매대책위원회를 운영하면서 천연
가스 판매 촉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했고, 7월에는 수요개발 전담팀을 신설해 판매 기능
을 강화했다. 천연가스 수요를 늘리기 위한 신규 사업도 추진했다.
함께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LNG차량의 선행 사업으로 항만 야드트
랙터 연료전환 사업도 추진했으며, 한국형 LNG선 화물창(KC-1) 기술을
국내 LNG선박 건조에 적용해 LNG 관련 사업의 외연을 넓혔다. 이외에도
디메틸에테르(DME), 소규모 액화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분야 사업에의 참
여를 모색했다.
가스냉방 수요 촉진을 견인하다
기록적인 폭염이 반복되고 해마다 전력난에 처하는 날이 늘어나면서 가스
냉방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1984년 보급을 시작한 후 오랫동안
잊힌 듯했던 가스냉방이 30여 년 만에 전력난의 해결사로 다시 등장한 것
이다. 일각에서는 가스냉방이 2011년 순환정전사태 발생 당시에도 최대전
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하절기 전력수급 안정에 일조했다는 것을 다
시 환기시키기도 했다.
가스냉방이 가진 장점들이 새롭게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전기 대신 가스
를 열원으로 냉방을 하면 하절기 전력피크 기간의 냉방부하를 해결하기
위해 막대한 건설비용을 들여 발전소를 새로 짓는 부담을 피할 수 있었다.
가스냉방은 가격도 저렴할 뿐 아니라 도시가스 배관망을 통해 전국 어느
지역에서든 냉방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었다. 천연가스를 원료로 구동되
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발생이 적고 친환경적이며, 1대의 기기로 냉난방이
모두 가능한 것도 효율적이었다.
한국가스공사도 전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전력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냉방용 에너지원을 가스냉방으로 대체하는 데 앞장섰다. 그러나 가스냉방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했다. 국가 에너지관리 차
원에서 정부가 가스냉방기기 설치비 일부를 정책자금으로 지원하고 있었
으나 수요를 확대할 만큼은 아니었다. 하절기 전력피크 완화를 위해 2014
년 3월 한국가스공사는 가스냉방설비 설치 지원 사업 개정안을 공고했다.
개정안에 따라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기관 건물의 냉방설비는 장려금
지급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대신 민간수요 부문에 장려금 혜택이 확대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2015년 말에는 가스냉방 정부 보조금이 증액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