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2권
P. 89

LNG 신사업

               7            KOGAS,                                             전담기관 지정

                                                                                          수소유통



                            수소경제 활성화를



                            부탁해!











                                           한국가스공사는 수소산업에 적합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적임자였다. 긴 시간 동

                                           안 천연가스 인프라를 바탕으로 습득한 노하우를 통해서 수소 유통에도 최적화된
                                           기업임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한국가스공사는 2020년 7월 ‘수소유통전담기관’으

                                           로 지정돼 수소경제 실현의 주요한 한 축을 맡게 됐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
                                           격 안정화 및 공정한 유통체계 확립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이 역할은 일찍
                                           이 한국가스공사가 자체적으로 추진한 '수소 사업 추진전략'과 맥을 같이 한다. 수

                                           소 인프라 구축과 함께 민간의 참여도 이끌어 수소경제를 견인한다는 밑그림을
                                           마련했던 한국가스공사는 이제 다채롭게 채색해나갈 일만 남은 것이다.
                                           수소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먼저 사업에 뛰어든 한국가스공사는 기본적으로 적합

                                           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전국에 그물망처럼 연결된 천연가스 배관망과 전국 거
                                           점에 공급관리소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수소의 생산·운송이 가능하다. 게
                                           다가 안전하고 안정적인 천연가스 운영 노하우는 천연가스와 유사한 물성을 가진

                                           수소의 설비 운영과 안전관리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할 게 분명하다. 이러한 기반
                                           위에 선도적인 추진전략과 수소유통전담기관 지정이 더해지면서 한국가스공사의

                                           수소 생산·유통·활용전략은 힘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우선 2021년 1월 수소유통센터를 출범시키며 수소경제 활성화에 힘을 불어넣기
                                           시작했다. 가격 안정성을 꾀하면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완화하기 위해 자율적

                                           으로 운영되는 수소시장에 공공주도 방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소거래 시스템
                                           을 재구축하고 있다. 수소 판매업자가 수소 판매가격을 결정한 후 한국가스공사에

                                           24시간 이내에 보고하면, 이를 바탕으로 전체 수소 판매사업자의 평균 수소 판매
                                           가격, 판매사업자별 수소 판매가격을 공개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민간 사업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수소 관련 정보 시스템, 공정거래

                                           시스템 등을 구축해 소비자가 좀 더 원활하게 수소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
                                           고 있다. 수소충전소 위치, 판매가격, 대기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충전 시 필
                                           요한 튜브 트레일러 구매를 지원하는 등 소비자 중심 유통에 방점을 찍고 있다.




                                                                                                           085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