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5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375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이 발생해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천연가스 배관이 통과하는 마을의 주민
들을 중심으로 대책위원회가 결성돼 LNG배관 설치 결사반대와 함께 노
선변경을 강력히 요구했고, 이에 따라 서귀포시의 도시관리계획 결정(변
경)안 심의가 계속 연기됐다. 결국 남제주복합발전소에 청정연료인 LNG
를 공급하는 과업은 향후 풀어가야 할 숙제로 남게 됐다.
제주LNG본부만의 특별함
제주LNG본부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현장 여건이자, 육지로부터 설비
를 도입하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도서 지역의 열악한 건설 환
경이었으나, 무재해 무사고를 유지하며 공사를 완수했다. 제주LNG본부의
건설을 통해 천연가스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제주도에도 보편적 에너지
복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그동안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천연가
스를 누리지 못했던 제주도민들도 그 혜택을 받게 돼 국내 천연가스 공급
역사에 큰 획을 긋게 됐다.
제주도 인구와 수요량만을 고려하면 제주에서의 천연가스 보급 사업은 이
윤이 불가능한 구조였다. 그러나 한국가스공사는 제주도민의 에너지 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4,000억 원이 넘는 사업비를 투입, 제주LNG본부와 천연
가스 공급 배관망을 건설했다. 제주LNG본부 건설 사업은 한국가스공사가
지역을 위해 약 30억 원의 특별 지원을 한 것을 비롯해 지역경제 발전에 기
여하고 일자리 창출 효과도 창출했다. 지역 건설업체가 건설공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고, 가급적 건설장비를 제주도 내에서 충당하는
제주LNG본부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