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2권
P. 134
한국가스공사 40년사
2 휴머니티가
브랜드다
KOGAS에 특화된 한국가스공사는 기관 운영 전반 및 주요 사업의 각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인권영향 평가 시행 적인 인권 리스크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인권영향 평가를 자체적으
로 개발해 시행했다. KOGAS 인권경영헌장과 규정에 근거한 인권영향 평가 체크
리스트에 따라 부서별로 자가 점검을 진행한 후, 외부 전문가의 분석과 평가를 거
쳐 최종적으로 채택하는 방법으로 전문성과 신뢰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인권영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윤리경영을 보완하는 한편, 중장기 경영계획에 목
표를 반영하고 인권경영 로드맵을 수립했다. 아울러 인권경영의 노력을 정량적으
로 측정하기 위한 KOGAS 인권경영활동 지표 운영으로 인권경영의 실질적 성과
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했다.
인권경영 실천의 보루, 한국가스공사는 인권경영위원회, 인권상담센터, 진정심위위원회, 직장내 괴롭힘
KOGAS 인권경영 및 성희롱·성폭력 조사위원회 등 인권경영 전담기구를 설치해 기업활동과 관련한
전담기구 인권침해 발생을 예방하는 한편, 실효성 있는 인권침해 구제 절차가 진행되는 시
스템도 마련했다.
CEO를 포함한 고위경영진과 3인의 외부 인권전문가로 구성된 인권경영위원회
는 인권경영 관련 계획·평가·제도·정책 등을 총괄하는 인권경영 최고 의결기구로
서, KOGAS 인권경영 실천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그리고 인권침해사건을 심의하
고 의결하는 독립기구인 진정심의위원회는 외부위원을 과반으로 구성해 인권침
해 구제의 독립성은 물론 전문성과 객관성까지 확보했다.
또한 인권침해 발생 시 구제절차 마련을 위해 인권침해 사건을 상담하고 처리하
는 인권상담센터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갑질, 성희롱·성폭력, 직장내 괴롭
힘 등 분야별로 산재되어 있는 신고창구를 인권침해통합신고센터로 통합 구축하
고, 분야별 내·외부상담센터 운영으로 신고 및 상담의 용이성, 비밀보호 유지, 전문
성 확보 등 피해자 보호 중심의 상담 및 신고 체계를 구축했다.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