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44
한국가스공사 40년사
LNG 사업
기본계획 수립과 시행
정부 부처의 각종 보고서와 여론은 에너지원 다변화, 청정에너지 보급, 가
정 대체연료 확보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LNG 도입에 무게가 실렸다.
편리하고 안전한 고급에너지에 대한 국민의 수요가 커지자 동력자원부는
LNG 도입을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 1979년 11월 천연가스 도입선을 선
정해 실질적인 교섭에 나설 수 있는 주체기관을 조직해 천연가스의 개발·
도입·판매를 전담하도록 했다.
동력자원부의 지대한 관심 속에 한전도 1980년 1월 ‘가스사업추진위원회’
를 발족시키고 LNG 관련 업무를 위원회로 일원화하면서 본격적인 업무
에 들어갔다.
1979년 12월 1차 위원회 회의에서 1980년 5차 위원회까지 다양한 결정사
항을 의결했다. 그 내용을 간추려보면 LNG 도입선과의 협상 추진을 위한
레터 발송, LNG생산기지 후보지 지질조사, 인도네시아와 구체적인 협상
진행, 1984년 LNG 도입을 위한 추진안 마련 등이었다.
정부는 1980년 4월 국무총리실 산하 중화학추진위원회 기획단 안에 실무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LNG생산기지 건설을 위한 기본조사용역에 착수하
는 등 LNG 사업 추진을 위한 준비를 속속 진행했다. 이어 1980년 10월에
열린 경제장관회의에서 LNG 도입에 관한 기본방침을 확정했다. 이 기본
방침은 LNG 사업을 추진할 주체로 한전을 지정하고, 수익성이 낮은 사업
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장기저리의 국민투자기금을 융자해주며, 전용부두
는 정부가 지원해 건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추진력으로 LNG 도입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됐
다. 관련 정보가 부족해 시행착오를 겪고 무연탄 사업자들의 반대와 우려
도 있었지만, LNG 도입이 생산 한계에 도달한 무연탄 사업에 위축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설득을 펴며 사업을 추진했다.
LNG 사업 기본계획
도입의 필요성
• 탈석유, 에너지 대체, 도시연료의 전환, 도시공해의 감소, 에너지의 장기 안정적 공급,
관련 산업의 육성
도입 규모
•1985년부터: 150만 ton/year
•1987년부터: 300만 ton/year
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