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5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415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2019년 4월에는 엑손모빌 담당 실무자가 제주LNG본부를 방문해 기술평

                                           가회의를 갖고 저장탱크 건설 현장조사를 진행했으며, 9월에는 한국가스
                                           공사 연구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휴스턴에서 2차 기술평가회의를 가

                                           졌다. 2년여에 걸쳐 평가가 진행된 결과, 한국가스공사의 기술이 엑손모
                                           빌의 TQMS에 적격하다는 공인을 받았다. 이로써 한국가스공사 멤브레인
                                           탱크 기술의 국제적 신뢰성을 확보하는 한편, 세계 육상용 LNG저장탱크

                                           분야의 강자임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세계적으로 LNG저장탱크 기술은 1970년대 후반까지는 단일방호식 탱크

                                           (Single Containment Tanks)가,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까지는 이
                                           중방호식 탱크(Double Containment Tanks)가, 1980년대 중반부터 완전
                                           방호식 탱크(Full Containment Tanks)가 시장을 이끌었다. 단일방호식

                                           탱크는 저장탱크 주변에 방류둑을 설치하는 방식이고, 이중방호식은 1차
                                           저장용기 외에 추가로 2차 저장용기를 둘러싼 구조의 탱크이다. 완전방호
                                           식 혹은 멤브레인(Membrane) 탱크는 2차 저장용기의 유출 차단과 증발

                                           가스 누출 차단 성능을 지닌 설계방식이다. 특히 완전방호식은 9% 니켈강
                                           적용으로 안전성이 우수해 지상식 LNG탱크의 대용량화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삼척LNG생산기지에 세계 최대용량인 27만 kL급 저장탱

                                           크를 세계 최초로 건설하고 정상 운영하고 있다. 이 실적을 바탕으로 완전
                                           방호식 LNG저장탱크 설계기술을 경쟁 우위를 갖춘 분야로 육성해나갈 수

                                           있게 됐다. 또한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중소형 LNG생산기지에 기술을 적
                                           용할 수도 있어 해외시장에서의 입지 확대가 전망된다.






               수소사회로 가는 지름길,

               천연가스 배관 수소혼입
                                           2020년 유럽연합(EU)이 발표한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 체계
                                           에 따르면, 천연가스 발전 시 수소를 50% 혼소할 경우 그린에너지로 분류

                                           됐다. 천연가스 배관을 활용한 수소혼입은 도시가스 배관망을 통해 천연가
                                           스와 수소를 섞어 공급하는 것으로, 수소를 혼입하는 만큼 천연가스 사용
                                           량이 줄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소 전용 배관망

                                           이 갖춰지기 전까지는 천연가스 배관을 활용한 수소혼입이 온실가스를 감
                                           축하고 수소 공급의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꼽혔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수소 전용 배관망 건설에 앞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는 이점 때문에 영국, 미국, 호주 등 세계 각국에서 수소혼입 실증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도 천연가스 주배관망과 도시가스 배관망을




                                                                                                           411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