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5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425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ESG경영 중장기 로드맵
전환기 내재화기 공유·확산기
Transform Internalization Value Creation
2021~2022 2023~2024 2025~
• Top-Down 방식의 ESG경영 실행 • Bottom-up 방식의 • ESG경영 롤모델 타 기관 확산
• ESG경영 현황 진단 및 개선목표 수립 ESG경영 실행 • 기업들과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 중장기 ESG경영 추진계획 수립 • ESG경영 추진체계 고도화 지속력 확보
• 중장기 BP 과제 발굴 및 추진 • 기업들과 공동의 ESG목표 수립 및 실행
ESG경영 전략과제 주요 내용
전략과제 주요내용 실행과제
순환경제 활성화와 대규모 건설공사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인 KOGAS는 건설폐기물 재활 • 건설폐기물 재활용률·건설자재
환경오염물질 저감 용과 건설자재 재활용제품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건설폐 재활용제품 사용률 향상
기물 재활용률과 건설자재 재활용제품 사용률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 CCUS 사업 개발
함께 탄소를 따로 포집하고 활용·저장하는 CCUS기술을 확보하고, 이
를 사업에 반영해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에 기여할 예정이다.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 KOGAS는 친환경에너지인 수소를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생 • 수소 모빌리티 네트워크
태계를 만들어 수소를 공급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자체
수소 충전소 브랜드인 H 2 U와 주주로 참여 중인 하이넷(Hynet) 등을
통해 다양한 수소충전소 모델을 시도하고 있다.
신사업 추진 KOGAS는 LNG벙커링, LNG냉열과 같은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며 공 • LNG벙커링
사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020년 말 자회사 한국엘엔지벙커링 • LNG냉열
을 설립하며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LNG를 선박연료로 공급하는
LNG벙커링에 나섰다. 천연가스가 –162℃에서 0℃로 기화할 때 발생
하는 LNG냉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천연가스 공공성 강화 KOGAS는 보편적 에너지 복지를 위해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하며 더 • 소외 지역 도시가스 보급확대
위와 추위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소외계층에게 물품을 지원한다. • 에너지 사각지대 해소
이와 함께 찾아가는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해 업무 부담을 • 사회복지시설 요금 경감 업무의
최소화하면서 사회복지시설 도시가스요금 경감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담 최소화 위한 ‘찾아가는 원스톱
서비스’
일자리 창출 및 나눔 KOGAS는 2017년부터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 실현 •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
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약 9만 3,000명(2017~2022년)
의 민간 일자리 창출 및 고용유발 효과를 이뤄냈는데, 특히 모잠비
크 Coral FLNG의 준공으로 인한 누적 1만 6,000명의 민간 일자리와
WGC 2022의 성공적 개최로 인한 약 4,0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대
표적이다.
앞으로도 한국가스공사는 전 밸류체인에서의 본업과 연계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특히 해외 GTP 사업 등 신성
장 사업에서의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반 구축 및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노력, 사회 취약계층의 일자리 자립을 위한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