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1 - 한국가스공사 40년사 1권
P. 371

제2부 | 변화와 혁신의 10년
























               2017.10. 우즈베키스탄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2019.04. 모잠비크 태풍 피해 복구 지원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한국가스공사가 분당서울

                                           대병원에 지원금을 기탁해 2018년까지 이라크 4명, 우즈베키스탄 10명 등
                                           총 14명의 수술을 지원했다.

                                           이외에도 한국가스공사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추진되는 자원보유국에
                                           서의 사회공헌 사업을 통해 현지인들과 상호교류했다. 2017년 4월 우즈베
                                           키스탄 타슈켄트시 보부르공원에 어린이 놀이터를 조성해 지역주민들로

                                           부터 호평을 받았다.
                                           모잠비크에서는 2012년 초등학교를 설립한 이후 매년 책상과 의자를 비롯
                                           해 학습 기자재를 후원하는 교육환경 개선 사업을 전개했고, 2017년 마하

                                           케느 지역 중·고교에 기부금 1억 원을 기부해 직업훈련을 위한 설비와 기
                                           자재를 지원했다. 2015년에는 모잠비크 현지에 기술훈련학교를 신설한
                                           데 이어, 배관 용접공과 기계공 등을 양성할 수 있도록 후원하면서 현지인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에 일조했다.
                                           이 밖에도 2011년부터 2018년까지 해외자원개발 대상 국가 출신의 유학생에

                                           글로벌 펠로우십 장학금을 지급했으며, 2019년에는 사이클론 이다이(IDAI)
                                           로 큰 피해를 입은 모잠비크 중부 지역에 긴급 구호성금 약 1억 원을 전달하
                                           기도 했다.




                 Tip Story                한국가스공사는 2017년 11월 ‘2017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5년 연속 다우존스               Indices) 컨퍼런스’에서 5년 연속 아시아퍼시픽(Asia Pacific) 편입 인증서를 수상했다. DJSI는 미국 금융정
                 지속가능경영지수 편입              보회사인 다우존스(Dow Jones)와 스위스 투자평가사인 로베코샘(Robeco SAM)이 공동 시행하는 세계
                                          적 권위의 글로벌 기업 평가이다. 매년 세계 2,500여 개 기업에 대해 경제적 성과, 지구환경 보전 노력, 사회
                                          적 책임 이행 등 세 가지 측면(Triple Bottom)에서 종합 평가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아시아·오세아니아
                                          600대 기업 대상 평가에서 상위 20% 이내 미래 지속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우량기업으로 인정받았다.






                                                                                                           367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